책 소개이 책은 데이타베이스 시스템(Database System)을 설계하고 구현하고 사용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개념을 종합적으로 소개한 것이다. 특히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이 제공하는 데이타 모델, 데이타 언어, 데이타 관리 기능 그리고 구현 기법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하였다. 이 책은 데이타베이스 과목으로 두 학기에 걸쳐 대학의 학부와 대학원 기초 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내용으로 집필하였다. 이 책을 사용하는 독자는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자료구조에 대한 기초지식을 가지고 있고 컴퓨터 시스템에 대해 기본 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 책은 크게 기본 편과 고급 편 2부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제1부 기본편에서는 학부 상급 학년에서 공부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정보 시스템(Information System)과 데이타베이스(Database) 개념을 설명하였다. 다음에는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과 데이타 독립성(Data Independence) 그리고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요소를 설명하였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이 관계 데이타베이스 시스템(Relational Database System)이기 때문에 이것을 이해하고 실습해 보는 것은 학생들에게 아주 중요하다. 따라서 관계 모델과 관계 대수와 관계 해석을 기술하였고, 관계 데이타베이스를 처리할 수 있는 표준 관계 데이타 언어인 SQL을 설명하였다. 데이타베이스로 표현하려는 데이타의 의미는 데이타 종속성(Data dependency)으로 분석해 볼 수 있다. 이 데이타 종속성을 기반으로 한 정규형(Normal Forms)을, 한 장으로 설명하였다. 데이타베이스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데이타 모델링(Data Modeling)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데이타 모델의 개념으로 개체 타입, 관계 타입을 설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개체-관계 모델(Entity-Relationship Model)을 기술하였다. 데이타베이스 설계는 데이타베이스의 구조와 연산, 그리고 제약 조건을 모두 이해한 다음에야 올바른 데이타베이스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는 데이타베이스를 설계할 때 고려사항이나 설계 방법을 이론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이 점에 대해 중점적으로 기술하였다. 관계 데이타 모델 이후에 제안되고 개발된 객체지향 데이타베이스 시스템(Object-Oriented Database System)과 객체 관계 데이타베이스 시스템(Object- Relational Database System)도 소개하였다. 특히 인터넷과 웹(Internet and Web) 기술을 바탕으로 활성화 되고 있는 데이타 교환을 위한 XML 데이타베이스(XML Database)에 대해서도 기술하였다. 제2부 고급 편에서는 주로 학부 상급 학년이나 대학원에서 공부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여기에서는 장별 순서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 가르치는 교수의 재량으로 강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도록 독립적 주제가 되도록 하였다. 이 고급 편에서 각 장으로 다루고 있는 주제로는 질의어 처리(Query Processing)와 최적화(Optimization), 트랜잭션 처리(Transaction Processing)를 위한 데이타베이스 회복(Database Recovery), 병행 제어(Concurrency Control), 데이타 무결성과 보안(Data Integrity and Security), 분산 데이타베이스(Distributed Database)와 분산 트랜잭션(Distributed Transaction) 처리,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Decision Support System)을 위한 데이타 웨어하우스와 데이타 마이닝(Data Warehouse and Data Mining), 인터넷 웹 환경 하에서의 전자 상거래(E-Commerce)를 포함하고 있다. 사실 이러한 주제는 각각 얼마나 심도 있게 다루느냐에 따라 강의 시간을 할애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어디까지나 강의하는 교수의 재량에 맡겨질 수밖에 없다. 마지막 장에서는 최신 데이타베이스로 멀티미디어 데이타베이스(Multimedia Database), 모바일 데이타베이스(Mobile Database),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포함시켰는데 사실 지금도 발표되고 있는 연구 논문과 개발 결과로 채워져야 할 여백을 많이 두고 있음을 밝혀둔다. 분량이나 내용 면에서 이 책은 한 학기 보다는 두 학기에 걸쳐 강의하기에 적당하다. 강의하는 교수의 편리와 저자의 의도를 전달하는 의미에서 별도의 강의록을 제공하고 있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강의 담당 교수만을 위한 것임을 못 박아 두고자 한다.
|